사회문화 질문이요
안녕하세요! 질문 주셔서 감사합니다.
회문화 공부 열심히 하고 계시네요! 궁금한 점들, 하나씩 짚어드릴게요. 최대한 자세히 설명하려고 노력했고, 이해 안 되는 부분 있으면 또 질문 주세요!
1. 2020 수능 16번:기능론은 사회 구성 요소들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사회 전체의 안정과 균형을 유지한다고 봐요. 이 관점에서 가족 문제의 원인을 '가족 구성원 간 유대 약화'라고 보는 거죠. 유대 약화 -> 가족 기능 약화 -> 사회 불안정으로 이어진다고 보기 때문입니다.
초점을 맞추지만, 이 문제는 '유대 약화'라는 현상 자체에 주목해서 기능론적 관점으로 접근한 거예요. '관계'를 다루는 상징적 상호작용론과 헷갈리기 쉬운데, 초점이 어디에 맞춰져 있는지 잘 살펴보면 구분할 수 있을 거예요.
2. 2024 9월 모평 3번:음, 이 부분은 질문 주신 것처럼 생각할 수도 있어서 저도 헷갈리네요. 일반적으로 관찰이나 면접처럼 직접 수집한 자료를 1차 자료, 기존 자료를 활용하는 것을 2차 자료로 분류하는데, 이 문제에서는 C와 D가 직접 관찰하고 기록했기 때문에 1차 자료로 보는 게 맞아요. 아마 분석 결과를 '기록'했다는 표현 때문에 2차 자료라고 생각하신 것 같은데, 핵심은 자료를 직접 수집했느냐 여부입니다.
다른 문제와의 차이점은 자료 수집 과정을 더 구체적으로 제시했다는 점인 것 같네요.혹시 다른 문제 예시가 있으면 비교해 보면 더 명확해질 것 같습니다.
3. 2020 수능 5번:이 문제에서 을은 '이혼율 증가의 원인이 경제적 어려움 때문이다'라는 가설을 암묵적으로 설정하고 있어요. 그리고 표를 통해 경제적 어려움과 이혼율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있죠.가설 설정이 직접적으로 드러나지 않아서 헷갈리셨을 것 같은데, 자료 해석을 통해 을의 연구 방식이 연역적임을 추론해야 하는 문제였습니다.
4. 2020 9월 모평 6번:촬영 시간 외 행동을 '역할 행동에 대한 제재'로 보기는 어려워요. 역할 행동이란 특정 지위에 기대되는 행동인데, 갑의 행동은 촬영이라는 상황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죠. 오히려 갑의 '개인적 행동'으로 보는 게 적절합니다.애초에 촬영 시간 외 행동을 '역할'과 연결 짓는 것 자체가 무리라고 볼 수 있어요.
5.전 재산 사회 환원과 역할 행동: 전 재산 사회 환원은 기업가의 '역할 행동'이라기보다는 '사회적 책임'이나 '개인적 가치관'에 따른 행동으로 보는 게 더 적절합니다.기업가의 역할은 이윤 추구, 고용 창출 등 경제 활동에 있지, 재산 환원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니까요. 물론 사회적으로 존경받는 행동이지만, 모든 기업가에게 요구되는 '역할'은 아니죠. 자발적 행동이라는 점도 역할 행동과 구분되는 지점입니다.
도움이 되셨으면 좋겠네요!궁금한 점이 더 있으면 언제든지 질문해주세요!
글 목록으로 돌아가기